본문 바로가기
교육·정책 > 역사 이야기

제77주년 제헌절(7월 17일) 의미와 역사

by jiwon9312 2025. 7. 15.
반응형

 

🎉 제77주년 제헌절(7월 17일) 의미와 역사

🕰️ 제헌절은 왜 생겼을까?

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제정·공포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. 헌법을 통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.

📜 제헌절의 역사

  • 1948년 5월 10일: 제헌국회 총선거로 198명의 국회의원 선출
  • 1948년 7월 12일: 헌법 국회 통과
  • 1948년 7월 17일: 제헌헌법 공포 및 시행 (조선 건국일과 역사적 연계)
  • 1949년 6월: 대통령령으로 국경일 지정
  • 1949년 10월: 국경일에 관한 법률로 공식 국경일 지정
  • 2008년: 주 5일제 시행에 따라 공휴일에서 제외

📌 제헌절의 의미

  •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과 의무, 국가의 구조를 정하는 최고 규범입니다.
  • 제헌절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선언한 날로, 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날입니다.
  •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의 대한민국이 시작된 헌법 제정일을 기념합니다.

🏛️ 제헌절 행사

제77주년 경축식은 2025년 7월 17일 오전 10시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릴 예정입니다. 국민대표, 헌법기관장,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헌법 정신을 기립니다.

📣 제헌절 공휴일 지정 논의

  • 2008년부터 제헌절은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지만, 국경일로는 유지 중입니다.
  • 2025년 강대식 의원 등 국회에서 공휴일 재지정 및 대체휴일 적용을 위한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.
  • 국회 입법조사처는 제헌절의 공휴일 위상 회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.
  • 여론조사 결과 88% 이상이 공휴일 재지정에 찬성하고 있으며, 언론과 시민사회에서도 논의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습니다.

📆 2025년 제헌절은 공휴일일까?

아쉽게도 2025년 제헌절(7월 17일)은 공휴일이 아닙니다. 현재도 국경일로 기념되지만 법정 공휴일은 아닙니다. 향후 국회 통과 및 대통령 공포가 이뤄지면 다시 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.

✔️ 제헌절 요약

항목 내용
제정일 1948년 7월 17일
국경일 지정 1949년
공휴일 해제 2008년 이후 제외
현재 국경일은 유지, 공휴일 아님
재지정 논의 2025년 국회 법안 발의 중

📚 참고 자료

🤔 제헌절, 이렇게 기념해 보세요

  • 가정에서 국기 게양
  • 헌법의 의미 되새기기
  • 자녀와 함께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
  • 기념식 시청 및 참여 행사 함께하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