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!doctype html>
- 만 18세 이상 ~ 49세 이하 성인
- 출생연도 기준: 1976년생 ~ 2007년생 (생일 경과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)
※ 실제 대상·간격은 해당 절기 지침과 지역 공지를 확인하세요.
요약
예약 채널
- 온라인: 사전예약 누리집
- 전화: 1339, 지자체 콜센터, 보건소
- 현장: 보건소/위탁의료기관(기관별 운영)
필수 준비물
- 신분증, 마스크
- 복용 약 목록(항응고제·면역억제제 등)
- 최근 확진·질환 여부 메모
당일 절차
- 예진표 작성·의사 예진
- 상완삼각근 근육주사
- 15–30분 대기 관찰
온라인 예약 방법(권장)
② 본인 인증
- 휴대폰 또는 공동·금융인증서로 인증
-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
대리 예약은 피접종자 인적사항이 필요합니다.
③ 기관·일시 선택
- 시·군·구 → 동/읍/면 선택
- 보건소 또는 위탁의료기관 지정
- 가능한 날짜·시간 중 선택
기관에 따라 당일/현장접종 운영 가능.
④ 확인·변경
- 예약 완료 문자(SMS) 확인
- 누리집의 예약확인/변경에서 일정 조정
- 변경·취소는 가급적 1일 전까지
꿀팁: 취소분이 수시로 발생하니 간헐적 새로고침+인근 지역 확대.
전화·현장 예약 방법
① 전화 예약
-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
- 관할 보건소 / 지자체 콜센터
신분 확인을 위해 이름·생년월일·연락처 확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
② 현장 예약
- 보건소 또는 위탁의료기관 방문(운영상황 사전 문의)
- 신분증 지참 → 예약 또는 당일접종
기관별 운영시간·재고가 상이하므로 방문 전 전화 확인 필수.
③ 성공률 높이는 팁
- 아침·점심 전·퇴근 전 시간대에 취소분 빈번
- 집+직장 인근 기관 모두 후보로 등록
- 희망 날짜·시간을 2~3개 사전 메모
접종 당일 체크리스트
① 준비물
- 신분증(주민등록증·운전면허증·여권 등)
- 마스크
- 복용약 리스트(항응고제·면역억제제 등)
- 기저질환·최근 확진 여부 메모
② 접종 전 확인
- 발열·급성증상 시 연기
- 백신 성분 알레르기 병력 의료진 고지
- 수분 섭취·과로 피하기
③ 절차
- 예진표 작성 → 의사 예진
- 상완삼각근 근육주사
- 15–30분 대기 관찰
④ 즉시 도움 요청해야 할 증상
- 호흡곤란·전신 두드러기·실신/흉통
- 지속 고열·신경학적 이상
응급: 아나필락시스 의심 시 즉시 119 또는 응급실.
접종 후 관리
일상 복귀 가이드
- 사무직은 대개 다음 날 복귀 가능
- 육체노동·야간근무는 1–2일 컨디션 고려
- 운동은 가벼운 걷기 → 48–72시간 후 평소 강도
경미한 증상 대처
- 국소 통증·미열: 필요 시 해열진통제
- 대개 2–3일 내 호전
- 지속·악화 시 의료기관 상담
기록 관리
- 예약·접종 내역 스크린샷/문자 보관
- 다음 접종 권고 시점 메모
자주 묻는 질문(FAQ)
온라인 예약이 계속 실패해요.
브라우저 캐시 삭제 후 재시도하고, 다른 브라우저/기기·모바일 데이터로도 시도하세요. 취소분은 특정 시간대(정오·퇴근 전)에 많이 발생합니다.
최근에 확진됐는데 언제 맞을까요?
일반적으로 회복 후 일정 기간 경과 뒤 접종을 권장합니다. 개인 컨디션·기저질환 여부에 따라 예진 의사와 상의하세요.
mRNA가 걱정돼요. 대안이 있나요?
재조합 단백질 백신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 다만 지역·기관 재고는 상이하므로 예약 과정에서 확인하세요.
예약했는데 일정 변경이 필요합니다.
사전예약 누리집의 예약확인/변경에서 조정 가능하며, 가급적 1일 전까지 변경/취소해 주세요.
바로가기
※ 본 글은 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입니다. 실제 대상·간격·운영은 질병관리청·지자체·의료기관 공지를 따르세요.
'복지 정책 세금 안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2차 국가장학금 신청 안내 (1) | 2025.08.13 |
---|---|
건강생활실천지원금 시범사업, 제대로 알아보기 (7) | 2025.08.13 |
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원칙 완전정리 (4) | 2025.08.12 |
2025년 주민세 납부 완전 가이드 (5) | 2025.08.12 |
희망두배 청년통장 · 꿈나래 저축통장 완벽가이드 (6) | 2025.08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