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📰 2025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주요 복지정책
2025년 하반기부터 보건·복지·가족·교육 분야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국민 삶의 질을 따뜻하게 바꾸기 위해 개편됩니다. 한부모, 아동, 노인 등을 위한 변화가 특히 주목됩니다.
1. 한부모 가정 및 아동 지원 확대
- 양육비 선지급제 (7월 1일 시행):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지급. 자세히 보기
- 공적 입양 체계 전환 (7월 19일 시행): 국가 책임 입양 체계로 전환
2. 자활근로 및 취업 자립 지원
자활성공지원금 (10월 시행): 취·창업 후 6개월 이상 유지 시 최대 150만 원 지원
3. 육아휴직 사업주 지원 완화
육아휴직 후 퇴사 시 지원금 절반 지급: 중소기업 대상, 최대 870만 원까지
4. 노인·아동·청년 지원 확대
- 기초연금 확대: 월 최대 40만 원
- 아동수당 확대: 만 8세 미만까지 지급
- 청년 월세 지원: 월 25만 원, 최대 18개월
5. 복지 기준 완화 및 계좌 지원
- 중위소득 인상 및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- 건강생활유지비 월 1만2천 원
- 희망저축계좌 월 20만 원 → 3년간 1,080만 원 형성
- 디딤씨앗통장 대상 확대
6. 문화·체육 소득공제
- 문화이용권: 연간 14만 원
- 헬스장·수영장 소득공제: 결제액의 30%, 최대 300만 원
7. 예금자 보호 강화
예금보호 한도: 기존 5천만 원 → 1억 원 (9월부터 시행)
🎯 주요 대상별 요약 정리
대상 | 주요 혜택 | 시행 시기 |
---|---|---|
한부모가정 | 양육비 선지급 월 20만 원 | 7월 |
입양대상 아동 | 공적 입양체계 전환 | 7월 |
자활수급자 | 성공지원금 최대 150만 원 | 10월 |
중소기업 사업주 | 육아휴직 퇴사자 지원금 절반 | 7월 |
노인 | 기초연금 확대 | 하반기 |
아동 | 아동수당 연령 확대 | 하반기 |
청년 | 월세 지원 연장 | 하반기 |
저소득층 | 계좌지원·중위소득 인상 | 연중 |
문화/체육 | 이용권 확대·소득공제 | 7월 |
예금자 | 1억 원 보호 | 9월 |
📝 신청 안내 & 바로가기
✅ 한줄 정리
2025년 복지정책은 한부모·아동·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계층을 향한 따뜻한 변화입니다.
반응형
'복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충남 8개 시·군, ‘특별재난지역’ 추가 지정…복구와 지원은 어떻게 달라지나? (6) | 2025.08.08 |
---|---|
국민취업지원제도 상세 안내 (4) | 2025.08.07 |
🎉 2025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 신청방법 & 대상자 총정리 (3) | 2025.08.06 |
2025년 국가장학금 신청 방법 및 대상 총정리 (홈페이지 바로가기 포함) (7) | 2025.08.06 |
은퇴 후 고독사 걱정 끝! 돌봄 플러그 서비스로 안심 돌봄 (6) | 2025.07.28 |